HomeNaver BlogNaver PostNaver OpencastGundamHolic TVGameHolic TVPetHolic TV다국어한국어English日本語

logo




  • PS 장갑
  • 0 Likes
  • 3776 Views
  • 0 Comments
  • 2012/05/21 14:38
  • 0 Reprots
  • P
  • 용어 개요 : Phase Shift(페이즈 시프트) 장갑의 약자로 가동시키면 장갑 외층에 진동파를 발생시켜서 실탄의 공격을 거의 무력화시킬 수 있는 리액티브 아머타입의 장갑기능
  • Tag list
페이즈 시프트.jpg

기동전사 건담 SEED의 기술로 Phase Shift(페이즈 시프트) 장갑의 약자로 가동시키면 장갑 외층에 진동파를 발생시켜서 실탄의 공격을 거의 무력화시킬 수 있는 리액티브 아머타입의 장갑기능.

애초에는 열에 약해서 빔 라이플에 뚫린다는 설정이 있었다. 그러나 일본위키에서는 여기에 내열성 향상의 효과도 따라 붙는다고 한다. 빔 라이플이 열에너지 병기에서 플라즈마 병기로 바뀐 것처럼 PS장갑 설정도 변한 듯하다.

아주 간단히 설명하자면 '전기가 흐르면 단단해지는 희안한 물질로 만들어진 장갑'

다만 착탄시의 충격까지 무효화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피탄시 기체 내부나 조종석에 큰 충격이 오게 된다. 결과적으로 계속 실탄에 노출되면 기체 내부구조의 손상이나 파일럿의 부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관통당하거나 파괴되지는 않지만 충격은 그대로 받는'다는 점에서 현실의 방탄조끼 생각하면 되겠다. 하지만 연출상 실탄공격에 무적으로 나온다. 다만 완전 무적은 아니고 단번에 300G쯤 가하면 깨진다고 한다. 구프 크러셔의 설정에서 G크러셔 공격에 파괴되었다.

페이즈 시프트 다운.jpg

가동되면 전압의 영향으로 색이 입혀지며 PS장갑이 가동되지 않을 경우 무도장 상태가 된다. 전력 사용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장기간 운용은 불가능하며, 에너지가 떨어지면 페이스 시프트가 풀리고 기체의 색이 사라진다. 이를 페이즈 시프트 다운이라고 한다.

이 장갑의 효과를 활용하여 초기에는 '건담을 쓰러뜨릴 수 있는 것은 건담 뿐'이라는 캐치 프레이즈를 쓰기도 했다. PS장갑을 뚫으려면 빔병기를 써야 하는데, 시드의 세계관에서 당시 빔 병기를 쓸 수 있는 MS는 같은 건담 뿐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초반부에 해당하는 얘기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바쿠에게도 빔 사벨이 장착되는 걸 시작으로 이 캐치프레이즈는 유명무실한 것이 되었다.

스트라이크.jpg스트라이크 루즈.jpg

사용된 기체마다 장갑의 색이 다른 이유는 전압차 때문으로, 스트라이크는 흰색인데 스트라이크 루즈는 붉은 계통인 이유는 보조 배터리 팩인 '파워 익스텐더' 장비에 의한 에너지 변환 효율의 상승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한 마디로 스트라이크 루즈는 스트라이크보다는 방어력이 높다. 그런데 등장했을 때부터 빔병기가 널리 상용화된 상황이라 별 의미가 없다. 그래서인지 나중에 키라가 라크스를 구하러 스트라이크 루즈 타고 이터널로 향할 적에는 전압 설정을 이전 스트라이크를 탈 때 당시로 설정해놔서 기존 스트라이크와 똑같은 색이 된다.

스트라이크 설정.jpg
(극중에서 "전압 같은건 어떻게 설정할까?" 라는 질문에 "모두 스트라이크와 똑같이요" 라는 대답한다.)

나중에는 핵엔진을 탑재한 기체들이 등장해 에너지가 많이 소모된다는 설정도 큰 의미가 없어진다.

PS장갑에 똑같은 PS장갑이 부딪칠 경우에 대해선 제시된 것이 없다. 어쨌든 단순히 장갑으로만 만들 게 아니라 근접전용 무기로도 만들 수 있을 듯한데, 본편에선 그런 사례가 없다. 대신 외전에서는 PS장갑재 무기가 여럿 나온다.

바리에이션으로 TP장갑과 VPS장갑이 있는데, 둘 다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발전한 것이다. TP장갑은 외부 장갑 아래에 PS장갑을 배치해 착탄시에만 발동하게끔 설계해 에너지 효율을 꾀했고, 그 덕에 출력 저하로 인한 변색 문제를 해소했다.  VPS는 장갑의 강도를 변화시키는 방식을 채용했으며, 부가적인 효과로 필요에 따라 장갑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스트라이크 프리덤.jpg 인피니트 저스티스.jpg 데스티니.jpg

또한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과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 데스티니 건담은 프레임에 이 PS장갑 재질이 동원된다. 스트라이크 프리덤과 인피니트 저스티스의 경우 프레임 자체가 이 재질로 만들어졌다. 이른바 페이즈 시프트 프레임. 데스티니의 경우 관절부에만 동원되었다.

건담 아스트레이 시리즈에는 연합의 블랙박스를 해독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외전의 팬에게는 큰 의미가 없다. 물론 나중에는 아스트레이 블루 프레임 세컨드의 동체에 반응 장갑형식으로 사용되었고, 세컨드 G의 환장파츠인 풀 아머 페이즈 시프트나 아스트레이 골드 프레임 아마츠의 몇몇 무장에 간간히 사용되었다.

빔 실드.jpg

말 그대로 실탄에만 강해서 빔에는 약했기에 초기형 GAT-X 넘버의 기체들에게 빔 코팅된 실드가 준비되었다. 연방의 한 고관이 "왜 PS장갑에 빔코팅을 하지 않느냐"라는 질문을 했고, 한 기술 사관은 "장갑 외층의 진동파가 빔코팅과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이전 초기 PS장갑 기체들이 대기권 돌입을 견뎌낸 점이나 제네시스의 PS장갑이 양전자포조차 견뎌낸 걸 보면 원리가 뭔지는 몰라도 기술을 발전시키면 빔 병기도 견뎌낼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 어떻게 된 게 데스티니에 이르러 온갖 보정은 다 받는 키라의 스트라이크 프리덤에조차 그런 방어력은 없었다. 그것은 제네레이팅 아머도 일단 설정상으로 화력이 낮은 빔 병기라면 어느 정도 견뎌낼 수 있다고도 한다.

PS장갑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무중력이나 저중력 상태의 환경과 대규모 시설, 높은 생산 단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군용 외에는 거의 활성화되지 못했다고 하며, 군용으로써도 양산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자프트가 버린 우주 요새 제네시스 알파를 접수한 정크상 조합은 제네시스 알파의 외벽에 사용된 PS장갑을 가공해서 민간용으로 팔았다고 한다.
0 Comments
  •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외전작. 통상 A.O.Z. 건담 센티넬처럼 일본의 모형잡지 '전격 하비 매거진'에서 자...
    • 2588
    • 0
    • 0
    • 2013/09/26 Updated
  •  
    건프라를 가지고 하는 체감형 시뮬레이션 배틀 시스템. 등장하는 작품에 따라 내용이 조금씩 달라진다. ...
    • 3999
    • 0
    • 0
    • 2013/10/03 Updated
  •  
    퍼스트 시즌 당시 세계를 삼분하던 세력들인 유니온, 인혁련, AEU 출신들이 모여 만든 조직으로 이...
    • 3780
    • 0
    • 0
    • 2013/10/17 Updated
  •  
    트레이즈 크슈리나다는 마샬 노벤터 원수를 비롯한 통일 연합의 수뇌부들이 뉴 에드워드 기지에 비밀리에 모...
    • 3928
    • 0
    • 0
    • 2013/10/17 Updated
  •  
    오퍼레이션 데이 브레이크 이후 지구권 통일 연합이 무너져 혼란 상태에 빠진 지구권을 롬펠러 재단...
    • 3230
    • 0
    • 0
    • 2013/10/24 Updated
  •  
    일년 전쟁 개전 후, 일부 모빌 슈트 파일럿들이 고속의 하전 입자(메가 입자포)를 높은 확률로 피해내는 ...
    • 4011
    • 0
    • 0
    • 2013/10/31 Updated
  •  
    이미 일년 전쟁 중에 지구 연방군의 오거스터 기지 내에 설립되었으며, 지구 연방군의 뉴타입 연구소로서...
    • 3444
    • 0
    • 0
    • 2013/10/31 Updated
  •  
    아자디스탄 왕국. 이란을 모티브로 해서 만든 국가이다. 세츠나 F. 세이에이의 고향인 크루지스를 멸망시...
    • 4516
    • 0
    • 0
    • 2013/11/07 Updated
  •  
    기동전사 건담 00 세컨드 시즌의 주역기 더블오 건담에 탑재된 시스템. 이오리아 슈헨베르그의 진정한 유...
    • 5988
    • 0
    • 0
    • 2013/11/14 Updated
  •  
    프라프스키 입자 분산 시스템 및 건프라 조종 장치, 전장의 가상 영상 배포 시스템 등이 구현되어있다. ...
    • 2283
    • 0
    • 0
    • 2013/11/21 Updated
  •  
    프라모델 상품 군 중에서 한정을 하는 제도. 프리미엄 반다이 상품중 일부를 한국에 들여와 판매하...
    • 3170
    • 0
    • 0
    • 2013/11/28 Updated
  •  
    정식 명칭은 제603기술시험대. 모함은 화객선을 개조한 요툰하임. 지온공국에서 만든 신병기를 테스트하...
    • 4705
    • 0
    • 0
    • 2013/12/05 Updated
  •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에 등장하는 모빌슈트 무장체계. 모빌슈트의 장비환장 시스템으로, 지구연합...
    • 3024
    • 0
    • 0
    • 2013/12/12 Updated
  •  
    이노베이터가 될 수 있는 인자를 가지고 있던 것으로 ELS의 침식을 받은 사람들 중 ELS의 방대한 정보...
    • 3823
    • 0
    • 0
    • 2013/12/26 Updated